

- BE ON
- 여기 우리 쉼표
위례, 옛 경관을 담다
- 위례 역사수변공원
- 정리. 편집실 자료 출처. LH 우수공원 작품집

도시와 자연, 역사가 공존하는 녹지 네트워크
대상지 일대는 한성백제시대의 수도였던 곳으로, 4세기 후반부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7세기 후반까지, 백제, 고구려, 신라의 세력 다툼이 치열했던 곳이다. 우측으로는 남한산성이 위치하고 있으며 매년 10월 각종 풍물놀이와 공연, 전시 등이 개최되는 산성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청량산의 울창한 녹음과 탄천, 남한산성과 연결된 이곳은 도시와 자연, 역사가 공존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위례신도시 중심이 되는 공원 녹지축 중 하나로 청량산과 휴먼링 계획을 통해 녹지네트워크 구조 형성을 위한 중요 위치이다.

물 위에 공간을 투영하다, 산수유원
남한산성 자락에서 시작된 오래된 물의 흐름이 위례에 이르러 다양한 정원으로 만나고 이를 즐기는 새로운 공원의 문화가 만들어졌다.

U-ECO활력있는 첨단생태도시
Culture흥미로운 역사문화도시
Harmony 더불어 사는 상생도시
위례신도시 공원·녹지 중심 전략
- 1. 녹색네트워크, 환경 순환 및 복원
- 2. 인간과 자연이 공존·공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
- 3. 편리하고 건강한 공공의 삶 실현
- 4. 지역성을 고려한 쾌적성 및 정체성 확보
- 5.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 수용의 외부환경 조성
- 6. 휴먼링·트랜짓몰과 연계한 공간 및 시설 특화
- 7. 세대·계층·지역 간 사회통합 공간계획
- 8. 주민 참여 및 교류의 커뮤니티 공간 확충
- 9. 유니버설 디자인

많은 사람이 오고가는 위례신도시의 명소
위례 역사수변공원은 위례신도시가 갖는 지역성과 역사적 및 입지적 특성, 사업지구 내·외의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경관적으로 우수한 공원을 조성하고자 조경설계 공모 및 총괄조경가(MLA: Master Landscape-Architecture)제도를 도입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위례신도시 입주민에게 우리의 옛 인문학적 멋과 풍류를 담은 경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위례의 지역적·역사적 특성을 총괄조경가가 설계 통합조정 과정을 거쳐 검토하게 했으며 지자체·주민 협의 등을 통해 의견을 반영하여 공원 조성이 완료되었다. 조성 과정에서 입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주민들이 선호하는 공간과 시설을 반영하여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했다. 대상 수변공원과 근린공원은 주변 공통주택과 위례신도시 입주민 및 상업·업무시설 이용자들의 건강 증진, 여가, 사색 등의 장소로 매우 이용도가 높은 위례신도시의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